HotFoxy
불여우의 전직 이야기
게임 서버 개발자가 되어 보죠!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35)
    • 연구한 이야기 (26)
      • 깊게 공부해보기 (7)
      • 문제 해결 이야기 (12)
      • 맡은 업무 이야기 (6)
    • 전직 이야기 (0)
      • 1년이라는 시간 (5)
      • 프로카데미 이야기 (5)
    • 공부한 이야기 (87)
      • 알고리즘 (7)
      • 리눅스 (11)
      • 클라우드 (24)
      • 윈도우 OS (17)
      • 윈도우 소켓 프로그래밍 (11)
      • 네트워크 (16)
      • Docker & K8S (0)
      • 기타 (1)
    • 자격증 이야기 (12)
  • MSB : Mad Square's Brawl
  • GITHUB

인기 글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HotFoxy

불여우의 전직 이야기

공부한 이야기/네트워크

모두의 네트워크 VII : 응용 계층

2023. 4. 29. 22:14

VII : 응용 계층

모두의 네트워크 을 읽고 정리한 문서입니다 ;)

모두의 네트워크 VII : 응용 계층
어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28 : 응용 계층의 역할

클라이언트 측 어플리케이션이 이에 대응되는 서버 측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웹 사이트를 볼 때는 HTTP, 파일을 전송할 때는 FTP, 메일을 보낼 때는 SMTP, 메일을 받을 때는 POP3, 도메인에서 IP를 조회할 때는 DNS 등의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Lesson 29 : 웹 서버의 구조

HTML은 웹 페이지에서 문장 구조나 문자를 꾸미는 태그를 사용하여 작성하는 마크업 언어이다.

HTTP는 80번 포트를 사용하여 리소스 요청을 주고 받는 프로토콜로서, 하나의 리소스마다 개별적으로 연결을 수립하고 끊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HTTP/1.1부터는 keepalive 기능을 도입하여 하나의 연결에서 여러 리소스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였고, HTTP/2부터는 리소스의 요청과 응답에 순서 제한을 두지 않아 병렬적으로 더욱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게 하였다.

Lesson 30 : DNS 서버의 구조

DNS는 도메인 URL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이렇게 URL을 통해 IP를 얻어오는 것을 DNS의 이름 해석 (name resolution) 이라고 한다.

DNS 서버는 전 세계에 여러 계층으로 나뉘어져 존재하며,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을 받았던 DNS 서버는 이러한 계층들을 타고 실제 IP를 얻을때 까지 탐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돌려주게 된다.

Lesson 31 : 메일 서버의 구조

메일을 보낼 때는 포트 번호 25번의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메일을 받을 때는 포트 번호 110번의 POP3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메일 서버들 간에도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일을 전송한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공부한 이야기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의 네트워크 IX : 무선 랜 이해하기  (0) 2023.04.29
모두의 네트워크 VIII :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0) 2023.04.29
모두의 네트워크 VI : 전송 계층  (0) 2023.04.29
모두의 네트워크 V : 네트워크 계층  (0) 2023.04.29
모두의 네트워크 IV : 데이터링크 계층  (0) 2023.04.29
    '공부한 이야기/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모두의 네트워크 IX : 무선 랜 이해하기
    • 모두의 네트워크 VIII :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 모두의 네트워크 VI : 전송 계층
    • 모두의 네트워크 V : 네트워크 계층
    HotFoxy
    HotFoxy
    1년 동안의 고군분투 전직 이야기! ..가 완료되어, 게임개발자로 살아남는 이야기!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