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ition

ASTC 포맷, 어떤 점이 왜 좋을까?
Arm에서 ASTC를 상세하게 설명해주는 문서가 있다. https://github.com/ARM-software/astc-encoder/blob/main/Docs/FormatOverview.md 위 글을 천천히 읽어 보며, 정리해 보는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ASTC는 분명 ETC2보다 개선된 압축방식이고, 같은 용량의 결과물이더라도 품질은 극명하게 차이가 난다. 왜 그런걸까? 그 몇년 사이에 압축 알고리즘이 비약적으로 상승한 것 때문일까? 이에 대한 답변이 확실히 될 수 있도록, 문서를 같이 읽어보자. ASTC format overview 특징 포맷 유연성 ASTC는 1~4채널의 데이터 압축을 지원합니다. RGB+A에서의 A채널과 같이, 상관관계가 없는 독립된 채널도 포함입니다. 비트레이트 유연성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