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I : 응용 계층
모두의 네트워크 을 읽고 정리한 문서입니다 ;)
모두의 네트워크 VII : 응용 계층
어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Lesson 28 : 응용 계층의 역할
클라이언트 측 어플리케이션이 이에 대응되는 서버 측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웹 사이트를 볼 때는 HTTP, 파일을 전송할 때는 FTP, 메일을 보낼 때는 SMTP, 메일을 받을 때는 POP3, 도메인에서 IP를 조회할 때는 DNS 등의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Lesson 29 : 웹 서버의 구조
HTML은 웹 페이지에서 문장 구조나 문자를 꾸미는 태그를 사용하여 작성하는 마크업 언어이다.
HTTP는 80번 포트를 사용하여 리소스 요청을 주고 받는 프로토콜로서, 하나의 리소스마다 개별적으로 연결을 수립하고 끊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HTTP/1.1부터는 keepalive 기능을 도입하여 하나의 연결에서 여러 리소스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였고, HTTP/2부터는 리소스의 요청과 응답에 순서 제한을 두지 않아 병렬적으로 더욱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게 하였다.
Lesson 30 : DNS 서버의 구조
DNS는 도메인 URL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이렇게 URL을 통해 IP를 얻어오는 것을 DNS의 이름 해석 (name resolution) 이라고 한다.
DNS 서버는 전 세계에 여러 계층으로 나뉘어져 존재하며,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을 받았던 DNS 서버는 이러한 계층들을 타고 실제 IP를 얻을때 까지 탐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돌려주게 된다.
Lesson 31 : 메일 서버의 구조
메일을 보낼 때는 포트 번호 25번의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메일을 받을 때는 포트 번호 110번의 POP3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메일 서버들 간에도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일을 전송한다.
'공부한 이야기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의 네트워크 IX : 무선 랜 이해하기 (0) | 2023.04.29 |
---|---|
모두의 네트워크 VIII :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0) | 2023.04.29 |
모두의 네트워크 VI : 전송 계층 (0) | 2023.04.29 |
모두의 네트워크 V : 네트워크 계층 (0) | 2023.04.29 |
모두의 네트워크 IV : 데이터링크 계층 (0) | 202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