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Foxy
불여우의 전직 이야기
게임 서버 개발자가 되어 보죠!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35)
    • 연구한 이야기 (26)
      • 깊게 공부해보기 (7)
      • 문제 해결 이야기 (12)
      • 맡은 업무 이야기 (6)
    • 전직 이야기 (0)
      • 1년이라는 시간 (5)
      • 프로카데미 이야기 (5)
    • 공부한 이야기 (87)
      • 알고리즘 (7)
      • 리눅스 (11)
      • 클라우드 (24)
      • 윈도우 OS (17)
      • 윈도우 소켓 프로그래밍 (11)
      • 네트워크 (16)
      • Docker & K8S (0)
      • 기타 (1)
    • 자격증 이야기 (12)
  • MSB : Mad Square's Brawl
  • GITHUB

인기 글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HotFoxy
공부한 이야기/네트워크

모두의 네트워크 VIII :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공부한 이야기/네트워크

모두의 네트워크 VIII :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2023. 4. 29. 22:15

VIII :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모두의 네트워크 을 읽고 정리한 문서입니다 ;)

모두의 네트워크 VIII :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Lesson 32 : 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웹 사이트에 접속하려 할 때는 응용 계층부터 시작하여, URL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 순간 캡슐화가 시작된다. DNS 를 통해 서버 IP를 알아내고, 3-Way 핸드셰이크를 통해 연결을 수립한다.

이후 HTTP 프로토콜에 맞추어 HTTP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전송 계층으로 보낸다. 전송 계층에서는 여기에 TCP 헤더를 붙여, 출발지와 도착지 포트 번호 등을 설정하여 아래 네트워크 계층으로 보낸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이 세그먼트를 전달받아 출발지와 도착지 IP 등이 들어간 IP 헤더를 붙이고, 이는 곧 IP 패킷이라고 불린다.

이후 데이터링크 계층으로 이동한 데이터는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가 붙어 이더넷 프레임이 된다.

이는 이제 랜 카드를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공부한 이야기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네트워크 I : 웹 브라우저가 메시지를 만든다  (0) 2023.04.29
모두의 네트워크 IX : 무선 랜 이해하기  (0) 2023.04.29
모두의 네트워크 VII : 응용 계층  (0) 2023.04.29
모두의 네트워크 VI : 전송 계층  (0) 2023.04.29
모두의 네트워크 V : 네트워크 계층  (0) 2023.04.29
  • Lesson 32 : 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공부한 이야기/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 네트워크 I : 웹 브라우저가 메시지를 만든다
  • 모두의 네트워크 IX : 무선 랜 이해하기
  • 모두의 네트워크 VII : 응용 계층
  • 모두의 네트워크 VI : 전송 계층
HotFoxy
HotFoxy
1년 동안의 고군분투 전직 이야기! ..가 완료되어, 게임개발자로 살아남는 이야기!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