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IV : 컴퓨터 구조에 대한 두번째 이야기
IV : 컴퓨터 구조에 대한 두번째 이야기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을 읽고 정리한 문서입니다 ;) 컴퓨터 구조의 접근방법 컴퓨터 구조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이해는 프로세스와 쓰레드를 공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CPU의 특성을 알 필요가 있는 시스템 프로그래머 입장에서, CPU를 보는 관점 대부분은 레지스터에 집중된다. 레지스터를 디자인할 때 결정해야 할 중요 요소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있다. 레지스터를 몇 비트로 구성할 것인가 레지스터를 몇 개 정도 준비할 것인가 레지스터 각각을 무슨 용도로 사용할 것인가 CPU 구성 형태에 따라서, 즉 레지스터 구성 형태에 따라서 명령어 구조가 달라진다. 만일 16비트짜리 레지스터가 있고, 명령어 길이를 만일 16비트로 일치시킨다고 하면, 명령어..
III : 64비트 기반 프로그래밍
III : 64비트 기반 프로그래밍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을 읽고 정리한 문서입니다 ;) WIN32 vs WIN64 시스템이 어떤 비트 환경에서 동작하는지 구분하는 것은 두 가지로 판별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한 번에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이고, 이는 즉 IO 버스의 대역폭을 의미한다. 또한, CPU가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 한 번에 처리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가 비트 판별의 기준이 된다. 32비트 환경에서는 주소값의 표현을 가장 효율적인 32비트로 하였기에 최대 4GB의 메모리를 가질 수 있는 시스템이 되었고, 64비트 환경에서는 64비트로 메모리를 표현하기에 최대 16EB의 메모리를 가질 수 있는 시스템이다. 프로그램 구현 관점에서의 WIN32 vs WIN64 마이크로..
II : 아스키코드 VS 유니코드
II : 아스키코드 VS 유니코드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을 읽고 정리한 문서입니다 ;) Windows에서의 유니코드 아스키코드는 미국에서 정의하고 있는 표준이다. 알파벳 26자에 몇몇 확장 문자를 포함해도 256개를 넘지 않기에, 1바이트로 표현이 되는 문자이다. 하지만 다른 국가의 문자는 그렇지 않기에, 유니코드를 사용하고, 이는 문자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균일하게 2바이트를 사용한다. SBCS 는 Single Byte Character Set으로서, 문자를 표현하는데 1바이트만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아스키코드가 대표적으로 SBCS에 해당된다. MBCS는 Multi Byte Character Set으로서, 다양한 바이트 수를 사용하여 문자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MBCS에서 영어는 1바..
I : 컴퓨터 구조에 대한 첫번째 이야기
I : 컴퓨터 구조에 대한 첫번째 이야기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을 읽고 정리한 문서입니다 ;) 시스템 프로그래밍의 이해와 접근 시스템 프로그래밍이란,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는 OS 등을 개발하는 사람도 포함하지만, 이 OS가 제공하는 API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하는 것을 포함한다.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를 이해하게 되면, 문법적 요소만을 이해하고 바로 프로그래밍하는 프로그래머들보다 효율적인, Power Programming 이 가능해진다. 램이라는 저장장치로 구성되는 메인메모리는 컴파일이 완료된 프로그램 코드가 올라가서 실행되는 영역이다. 즉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존재하는 메모리이다. 입 출력 버스는 컴퓨터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하는 경로이다. 이는 주고받는 ..

정보처리기사 이야기
정보처리기사 이야기 전직을 결심하고, 모처럼 공부에 전념할 기간이 생겨서 자격증을 여러 개 따왔다. AWS 클라우드 자격증, SQLD, DAsP, 네트워크관리사, PC정비사, 리눅스마스터.. 개발자로서 자격증이 필요한지에 대해, 특히 게임업계 개발자는 더더욱.. 회의적인 시각이 많은 것은 알지만, 그래도 딱 하나의 자격증을 딴다면 모두가 말할 그 자격증. 정보처리기사 에 이번에 도전했다. 사실 작년 후반기에 전직 시작할때 따려고 했는데, 정보처리기사가 1,2,3분기에만 시험을 열었기에 이제야 따게 되었다. HOW - 필기 정보처리기사는 당근마켓을 통해 작년에 구매한, 2022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책을 통해 공부했다. 단원에 들어가기 전에, 해당 단원은 최근 기출 빈도가 몇 퍼센트나 되는지 알려주는 ..

SQLD 이야기
SQLD 이야기 SQLD. SQL 개발자 자격증. SQL을 다루는 능력을 평가받는 자격증이기에 DBA 직군 정도, 혹은 백엔드 직군 정도가 도전하는 자격증이겠거니,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더더욱 취득하는 사람이 많은 인기있는 자격증이었다. 아무래도 빅데이터 분석 관련 직군이 워낙 붐이다 보니 그런 것 같다. 각설하고. HOW SQLD는 SQL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하는 자격증이기 때문에, 시험 배점 비율도 SQL 쪽에 훨씬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SQL을 얼마나 잘 아는지가 가장 중요하고, 이는 곧 기존에 SQL을 알고 있었다면 도전하기 어렵지 않은 자격증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시험 앞쪽에 나오는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정도는 과락 안나게 공부해야 한다. SQLD 강의 (유튜브/아이티고) by..

DAsP 이야기
DAsP 이야기 데이터아키텍처라니. 무엇인가 알 것 같으면서도, 설명하라 하면 무엇을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는, 데이터 아키텍처. 그러한 데이터 아키텍처에 대한 자격증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재미있어 보여서, DA가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개발자로서 알면 좋을 것 같아서. 자격증에 도전했다. 그래서 데이터 아키텍처가 무엇인가 데이터 아키텍처는, 데이터를 가지고 설계해야 하는 모든 것과 관련된 지식이다. 그래서 DAsP를 공부하고자 한다면, 공부해야 할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전사 아키텍처 (회사나 단체가 사용할 데이터 관리체계 아키텍처) 정보 요구사항 분석 및 관리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모델링 (개념/논리/물리)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회사나 특정 그룹에서 사용할 모든 '데이터'를 관리할 때, 이것들..

PC정비사 2급 이야기
PC정비사 2급 이야기 PC정비사 2급 자격증을 땄다. 음... 어찌 보면 개발자인 나에게, 내가 딴 자격증들 중 가장 관련성이 없는, 혹은 도움 되지 않을만 한 자격증이 될 수도 있는 자격증이다. 그래도 이를 공부하며 얻은 컴퓨터 전반적인 지식이나 HW관련 지식은 개인적으로 꽤나 만족한다. 개발자로서 꼭 알아야 할 지식은 아닐 수도 있지만, 컴퓨터와 HW를 얼마나 아느냐 또한 스텝업 하기 위한 소양이라고 생각한다. HOW PC정비사는 교재 없이 공부했다. 교재가 딱히 없었기 때문..도 있고, 교재로 공부해야 할 정도로 전문적인 수준을 요하는 시험이 아니기 때문도 있고, 기존 기출들을 충분히 본다면 문제 없을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도 있고. 무엇보다 PC정비사 네이버카페 를 통해 단체검정 접수도 하고,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