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이야기가 이 글로서 끝이 난다.
이는 곧,
게임 업계로 취업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2년 8월부터 게임업계로 이직하기 위해
3년 6개월의 안드로이드 개발자 경력을 뒤로 하고
프로카데미와 함께 게임 서버 개발자를 향해 달려온 1년.
6월 한달간은 지원한 다양한 회사의 면접을 진행하느라 엄청 바빴다.
심지어 일주일에 면접이 6개인 주도 있었다.
게임잡에 포트폴리오를 정리해서 올려놓자마자,
몇몇 게임회사에서 먼저 연락이 왔다.
100명+인 기업들이었고, 평소에 알고있던 회사도 있었다.
게임잡을 통해 서버 개발자를 구하는 모든 공고를 스크랩한 뒤,
몇몇 공고에는 실제로 지원을 했다.
물론 모두 공채가 아닌 상시(수시)채용이었기에, 연락이 올지 안올지도 미지수였다.
그래도 지원한 대부분의 회사에서 면접 회신이 왔고,
면접을 진행한 회사는 모두 최종 오퍼까지 받았다.
아무래도 처음 몇 번 면접은 떨렸더라도 점점 이를 즐기게 된 덕이 있는 것 같다.
들어온 면접 제의에는 모두 응했다.
모든 회사의 면접 과정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 너무나도 많았다.
최고의 면접 스터디는 실제 면접인 것 같다.
다음주 월요일부터, 게임 회사로 출근한다.
어렸을 때부터 로망이었던, 게임업계에서의 활동.
결과가 생각보다 빠르게, 좋게 나와 주어 굉장히 다행이다.
프로카데미에서 1년을 채우지는 못했지만, 약 3분기가량 배운 내용은
나에게 '프로그래머'로서의 자신감을 키워줬다.
면접때 운영체제, 네트워크, C와 C++ 질문 나오기만을 기대했다.
탄탄히 배웠기에 홈런을 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었으니까.
프로카데미에 다니기 전, 대학교 때 스마일게이트 멤버십 활동 경험이 있었기에,
운이 좋게도 다양한 회사의 이목을 끌 수 있게 해준 것 같다.
배울 것이, 배워야 할 것이, 배우고 싶은 것이 너무나도 많다.
게임 서버 프로그래머가 아닌, 정확히는 Technical Director 프로그래머로 취업하게 되어 더욱 그런것 같다.
어찌 보면 다른 회사의 게임 서버 프로그래머 제의들을 뒤로 하고 TD 프로그래머를 택한 것이
앞으로 내 게임 업계의 방향을 어떻게 결정할 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내가 노력하는 만큼 배울 것이 많고, 배울 수 있는 것이 많은 포지션임은 명확하기에 택했다.
게임 엔진, 클라이언트, 서버, 인프라까지 모두 완벽히 이해하고 경험을 쌓아나간 뒤,
그 다음 그 회사에서 쓰는 서버와 인프라를 깊게 파볼 수 있다면 좋겠다.
이제 공부한 내용을 적는 블로깅을 취미로 가지게 될지도 모르겠다.
'전직 이야기 > 1년이라는 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6개월이 지났으니, 중간 정산. (0) | 2023.04.29 |
---|---|
서버 개발자가 되기 위한 나의 길 (0) | 2022.07.18 |
전직을 위한 기간, 1년 (0) | 2022.07.18 |
전직을 결심하게 된 이유 (0) | 2022.07.18 |